안녕하세요! 오늘은 컴퓨터를 조금 더 똑똑하게 다루고 싶은 분들을 위해, 아주 유용한 명령어 하나를 소개해 드릴게요. 바로 cd
명령어입니다!
cd 명령어란?

cd의 의미
cd
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말 그대로 디렉토리를 변경하다는 뜻입니다. 디렉토리는 컴퓨터에서 폴더를 의미해요. 즉, cd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중인 폴더를 다른 폴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왜 사용할까요?
컴퓨터에서는 파일을 정리하기 위해 여러 폴더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사진은 사진 폴더에, 문서는 문서 폴더에 저장하죠. 그런데 명령어를 사용해서 작업할 때는 어떤 폴더에 있는지 정확히 알아야 해요. 이때 cd
명령어를 사용하면 원하는 폴더로 이동할 수 있어서 작업이 훨씬 편리해집니다.

cd 명령어 사용법
이제 실제로 cd
명령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볼게요. 아래 예시들은 Windows와 Linux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현재 폴더 확인하기
먼저, 현재 내가 어떤 폴더에 있는지 확인하려면 pw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pwd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작업 중인 폴더의 경로가 출력됩니다.

2. 하위 폴더로 이동하기
현재 폴더 안에 있는 다른 폴더로 이동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cd 폴더이름
예를 들어, 문서 폴더로 이동하려면:
cd 문서
3. 상위 폴더로 이동하기
현재 폴더의 상위 폴더로 이동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cd ..
..
은 상위 폴더를 의미해요.
4. 최상위 폴더로 이동하기
컴퓨터의 최상위 폴더(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하려면:
cd /
이 명령어는 시스템의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5.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려면:
cd ~
또는 단순히 cd
만 입력해도 홈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cd
6. 이전 폴더로 돌아가기
바로 전에 작업하던 폴더로 돌아가려면:
cd -
이 명령어는 이전에 있던 폴더로 이동합니다.
7. 폴더 이름에 공백이 있을 때
폴더 이름에 공백이 포함되어 있다면, 따옴표를 사용하거나 역슬래시(\
)를 사용해야 합니다.
cd 내 문서
또는
cd 내\ 문서

실제 예시로 배우기
예시 1: 하위 폴더로 이동
현재 폴더에 사진 폴더가 있을 때, 그 폴더로 이동하려면:
cd 사진
예시 2: 상위 폴더로 이동
현재 사진/여행 폴더에 있을 때, 사진 폴더로 이동하려면:
cd ..
예시 3: 홈 디렉토리로 이동
어디에 있든지 홈 디렉토리로 돌아가려면:
cd ~
또는
cd
예시 4: 이전 폴더로 돌아가기
문서 폴더에서 사진 폴더로 이동한 후, 다시 문서 폴더로 돌아가려면:
cd -

꿀팁! cd 명령어 활용하기
- 경로 자동 완성: 폴더 이름을 다 입력하지 않아도, 몇 글자 입력 후
Tab
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완성됩니다. - 복잡한 경로 이동: 한 번에 여러 단계의 폴더로 이동할 수 있어요.
cd 문서/학교/과제
- 현재 폴더 확인:
pwd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wd

마무리하며
cd
명령어는 컴퓨터에서 폴더를 이동할 때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처음에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자주 사용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마치 컴퓨터 속을 여행하는 탐험가가 된 기분이랄까요? 😊
컴퓨터를 더 잘 다루고 싶다면, cd
명령어부터 시작해보세요!
바탕화면 배경 바꾸기 자세히 설명
목차1. 서론2. Windows에서 바탕화면 배경 변경하기3. Mac에서 바탕화면 배경 변경하기4. 스마트폰에서 배경화면 변경하기5. 배경화면 변경 시 유용한 팁6. 결론1. 서론배경 변경을 통해 얻을 수 있는
lk.kimsinfo.info
듀얼모니터디스플레이설정 쉽게 하기
목차1. 서론2. 듀얼 모니터의 기본 개념3. 하드웨어 연결 방법4. Windows에서 듀얼 모니터 설정하기5. 디스플레이 정렬 및 커스터마이징6. 듀얼 모니터 사용 팁7. 문제 해결 가이드8. 다양한 활용 사례
lk.kimsinfo.info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 다운로드 대기 중일 때 해결하는 방법 (0) | 2025.05.02 |
---|---|
다음 로그인 오류 알 수 없는 오류 해결 방법 (0) | 2025.05.02 |
엑셀 소수점 반올림, 버림 (0) | 2025.05.01 |
엑셀 곱하기 함수 사용법 (0) | 2025.05.01 |
키보드 한영키 입력 오류 해결 방법 (0) | 2025.05.01 |